본문 바로가기
일반

상업 입지 이론/ 소매점포의 유형과 분류/ 기출문제

by 네이든 루니 2023. 2. 4.
반응형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

■ 목차
- 상업 입지 이론

  •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 중력 모형
  • 소매 입지 이론

- 소매점포의 유형과 분류

  • 점포의 유형

- 기출문제


상업 입지 이론

◆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① 크리스탈러에 의하면 중심지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최소요구치가 항상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②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 요구 규모를 최소요구치라고 한다.
③ 중심지 활동이 제공되는 공간적 한계로서 중심지로부터 상업기능에 대한 수요가 '0'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재화의 도달범위이다.
④ 크리스탈러는 공간적 중심지 규모의 크기에 따라 상권의 규모가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⑤ 일반적으로 고차 중심지의 수는 적고, 고차 중심지 상호 간의 간격은 넓다.
⑥ 일반적으로 저차 중심지의 수는 많고, 저차 중심지 상호 간의 간격은 좁다.

 

◆ 중력 모형

① 중력 모형은 중심지의 형성과정보다 중심지 간의 상호작용(경쟁)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
②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에 의하면 X, Y 두 도시 사이에 거주하는 소비자에 대하여 두 도시가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두 도시의 크기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배분된다.
③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은 두 도시 간의 구매영향력이 같은 분기점(상권의 경계)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④ 허프(D. Huff)는 상권에 영향을 주는 근본적인 요인은 소비자의 구매행태라고 하고, 이러한 구매행태를 기본으로 확률모형을 제시하였다.
⑤ 허프의 확률모형으로 한 지역에서 각 상점의 시장점유율을 간편하게 추산할 수 있다.

 

◆ 소매 입지 이론

① 만일 A도시가 B도시보다 더 크다면 상권의 경계는 B도시(작은 도시)에 보다 가깝게 결정될 것이다.
② 넬슨의 소매입지이론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장소에 입지 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소매점포의 유형과 분류

◆ 점포의 유형

① 배후지의 중심에 입지 하는 것이 유리한 점포를 집심성 점포라고 하는데, 도매점, 고급음식점, 대형서점 등이 그 사례이다.
② 동일 업종의 점포끼리 서로 모여야 유리한 유형의 점포를 집재성 점포라고 하고, 동일 업종의 점포끼리 서로 분산해야 유리한 유형의 점포를 산재성 점포라고 한다.
③ 잡화점, 세탁소는 산재성 점포이고, 백화점, 귀금속점은 집심성 점포이다.
④ 선매품점은 일반적으로 집재성 점포의 유형을 갖는다.

 

기출문제

◆ 1~2번 문제

1. A도시에 있는 모든 산업의 입지계수를 산정하고 기반산업을 찾으시오.


                                                                                                                                                                    (단위: 명)

구분 A도시 B도시 전국
제조업 300명 1,200명 4,000명
금융업 500명 1,500명 5,000명
부동산업 200명 300명 1,000명
합계 1,000명 3,000명 10,000명


※ 풀이
입지계수 = 지역의 산업구성비/전국의 산업구성비
① 지역의 산업구성비를 조사
② 지역의 산업구성비를 전국의 산업구성비로 나눠준다.

구분 A도시 산업구성비 전국 산업구성비 입지계수
제조업 300명 (30%) 4,000명 (40%) 30/40 = 0.75
금융업 500명 (50%) 5,000명 (50%) 50/50 = 1.00
부동산업 200명 (20%) 1,000명 (10%) 20/10 = 2.00
합계 1,000명 10,000명  

정답: A도시의 기반산업은 부동산업이다.

 

2. A도시와 B도시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C도시는 A도시로부터 5km, B도시로부터 10km 떨어져 있다. A도시의 인구는 5만 명, B도시의 인구는 10만 명, C도시의 인구는 3만 명이다. 레일리(W.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적용할 경우, C도시에서 A도시와 B도시로 구매 활동에 유인되는 인구규모는? (단, C도시의 모든 인구는 A도시와 B도시에서만 구매함)
        A도시       B도시
①   5,000명   25,000명
② 10,000명   20,000명
③ 15,000명   15,000명
④ 20,000명   10,000명
⑤ 25,000명     5,000명

※ 풀이
1. 유인력

  1. A도시: 50,000 / 5^2 = 2,000
  2. B도시: 100,000 / 10^2 = 1,000

2. 유인력 비율

  1. A도시: 2,000 / 2,000 + 1,000 = 2/3
  2. B도시: 1,000 / 2,000 + 1,000 = 1/3

정답: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