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도시 성장 구조 이론
- 동심원 이론
- 선형 이론
- 다핵심 이론
- 공업 입지 이론
- 베버의 최소 비용 이론
- 뢰쉬의 최대 수요 이론
- 공장의 입지 유형
도시 성장 구조 이론
◆ 동심원 이론
① 동심원 이론은 20세기 초반 미국 시카고 대학의 시카고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② 동심원 이론은 튀넨의 이론을 도시 내부 구조에 적용하였다.
③ 동심원 이론은 도시의 공간 구조 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④ 도시는 중심지에서 동심원상으로 확대되어 성장하는데 중심업무지구, 점이지대, 노동자주거지대, 중산층 주거지대, 통근자 주거지대 등 5개의 지대로 분화된다.
⑤ 점이지대 또는 천이 지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지역의 사이에 있는 지역으로 두 지역의 특성이 모두 나타나는 지대이다. 점이지대의 내측에는 경공업 지구가 있고 외측에는 불량주거지대가 나타난다.
⑥ 노동자 주거지대란 천이지대 또는 점이지대에서 이주한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대로 주로 중심 지역에 직장을 가진 저소득층의 근로자들이 거주하는 지대이다.
◆ 선형 이론
① 호이트에 의하면 도시는 전체적으로 원을 반영한 부채꼴 모양으로 성장하며 그 핵심의 도심은 하나이며 교통의 선이 도심에서 방사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② 선형 이론은 도시는 자연적 장애물과 인공적 장애물이 가장 적은 방향으로 확장되고 그 결과 주택지는 도심의 주요 간선도로망을 따라 소득계층별로 형성된다고 한다.
③ 선형 이론에 의하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지역분화에 있어 중심업무지구로부터 도매·경공업지구, 저급주택지구, 중급주택지구, 고급주택지구들이 주요 교통노선에 따라 쐐기형(wedge) 지대 모형으로 확대 배치된다.
④ 주택가격의 지불능력(소득)이 도시주거공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⑤ 선형이론에 의하면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교통노선을 축으로 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입지 하는 경향이 있다.
◆ 다핵심 이론
① 해리스와 울만은 도시내부구조는 수 개의 핵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다핵구조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② 유사한 도시활동은 집적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 때문에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다.
③ 서로 다른 도시활동 중에서는 집적 불이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활동은 상호분리되는 경행이 있다.
④ 다핵심이론에서 제시한 핵의 성립요건에는 동종 활동의 집적, 이종 활동의 분산, 특정 위치의 요구, 지대지불능력의 차이 등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업 입지 이론
◆ 베버의 최소 비용 이론
① 베버는 최소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소가 최적의 공업입지라고 주장하였다.
② 베버는 산업입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수송비, 노동비 및 집적이익을 들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송비라고 주장하였다.
③ 수송비는 제품과 원료의 무게 및 수송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 뢰쉬의 최대 수요 이론
① 뢰쉬는 수요를 변수로 입지이론을 전개시킨 최초의 학자로서 최소비용이론을 부정하고 총소득이 최대가 되는 지점, 즉 수요를 최대로 하는 지점을 강조하였다.
② 뢰쉬는 수요측면의 입장에서 기업은 시장 확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 공장의 입지 유형
① 원료의 부패가 심하거나 국지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은 원료지향형 입지가 유리하다.
② 노동력이 풍부하고 임금이 저렴한 지역에 입지 해야 유리한 형태는 노동지향형 입지이다.
③ 기술연관성이 높은 산업들이 원료산지나 시장에 함께 입지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려는 입지 형태는 집적지향형 입지이다.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이용론/ 지대 이론 (61) | 2023.02.03 |
---|---|
부동산 관리론/ 부동산 마케팅론 (31) | 2023.02.02 |
에어서울 98% 할인 '사이다 이벤트' 최저가 3,900원 실화? 항공권예매 팁! (51) | 2023.02.02 |
2023년 2월 2일 목요일 간추린 뉴스 (31) | 2023.02.02 |
부동산 개발의 타당성 분석/ 부동산 개발의 방식 (62)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