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은 법 과목이 아닌 경제학·재정학·금융학·감정평가 등 여러 학문 중 부동산 관련 분야에서 출제된다. 즉 부동산 이론은 일반경제이론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관점으로 학습하고 부동산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잘 정리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17~22번 문제
시험에 나온 기출문제로 실전 감각을 키워 확실하게 대비한다.
17. 다음 입지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컨버스(P. Converse)는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거리, 시간거리, 매장규모와 같은 공간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
ㄴ. 호이트(H. Hoyt)는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되는 요인으로 도심과 부도심 사이의 도로, 고지대의 구릉지, 주요 간선도로의 근접성을 제시하였다.
ㄷ. 넬슨(R. Nelson)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장소에 입지 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ㄹ. 알론소(W. Alonso)는 단일도심도시의 토지이용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입찰지대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18. 주택시장에서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택 공급자의 신용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공급자 선호를 구분하는 것이다.
② 일정한 기준에 의해 주택 수요자를 보다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③ 주택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매도자 우위의 시장을 의미한다.
④ 공급하고자 하는 주택이 가장 잘 팔릴 수 있는 시장을 의미한다.
⑤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지면 시장정보가 증가하여 거래비용이 항상 증가한다.
19. 부동산시장에서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ㄱ. 시장금리 하락
ㄴ. 인구 감소
ㄷ. 수요자의 실질소득 증가
ㄹ. 부동산 가격상승 기대
ㅁ. 부동산 거래세율 인상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ㅁ
④ ㄴ, ㄷ, ㄹ
⑤ ㄱ, ㄷ, ㄹ, ㅁ
20. 우리나라의 부동산 조세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취득세 감면은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② 증여세는 국세로서 취득단계에 부과하는 조세이다.
③ 양도소득세의 중과는 부동산 보유자로 하여금 매각을 뒤로 미루게 하는 동결효과(lock-in effect)를 발생시킬 수 있다.
④ 종합부동산세는 국세로서 보유단계에 부과하는 조세이다.
⑤ 재산세는 지방세로서 취득단계에 부과하는 조세이다.
21. 주택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금융지원정책은 정부의 주택시장 간접개입방식에 속한다.
② 주택정책은 주거안정을 보장해 준다는 측면에서 복지기능도 수행한다.
③ 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과 소득대비 임대료비율(RIR)은 주택시장에서 가구의 지불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④ 공공임대주택 공급정책은 입주자가 주거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⑤ 주거복합정책상 주거급여제도는 소비자 보조방식의 일종이다.
22. 공공주택 특별법령상 공공임대주택의 용어 정의로 틀린 것은?
① 국민임대주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한다.
② 영구임대주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지원받아 최저소득 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50년 이상 또는 영구적인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한다.
③ 장기전세주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전세계약의 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한다.
④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은 일정 기간 임대 후 분양전환 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한다.
⑤ 기존주택전세임대주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기존주택을 임차하여「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등 저소득층과 청년 및 신혼부부 등에게 전대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한다.
정답
17 | 18 | 19 | 20 | 21 | 22 |
④ | ② | ③ | ⑤ | ④ | ①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5) (38) | 2023.02.13 |
---|---|
2020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4) (28) | 2023.02.13 |
2020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2) (28) | 2023.02.13 |
2020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1) (17) | 2023.02.13 |
2021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6) (31)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