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2020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2)

by 네이든 루니 2023. 2. 13.
반응형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은 법 과목이 아닌 경제학·재정학·금융학·감정평가 등 여러 학문 중 부동산 관련 분야에서 출제된다. 즉 부동산 이론은 일반경제이론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관점으로 학습하고 부동산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잘 정리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9~16번 문제

시험에 나온 기출문제로 실전 감각을 키워 확실하게 대비한다.


9. 다음 중 유량(flow)의 경제변수는 모두 몇 개인가?

· 가계자산
· 노동자 소득
· 가계 소비
· 통화량
· 자본총량
· 신규주택 공급량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10. 오피스텔의 분양수요함수가 Qd = 600 - (3/2) P로 주어져 있다. 이 경우 사업시행자가 분양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오피스텔 분양가격은? (단, P는 분양가격이고 단위는 만원/㎡, Qd는 수요량이고 단위는 ㎡,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이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① 180만 원/㎡
② 190만 원/㎡
③ 200만 원/㎡
④ 210만 원/㎡
⑤ 220만 원/㎡


11. 다음은 거미집이론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모형형태는? (단,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을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ㄱ)이다.
·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ㄴ)이다.

① ㄱ: 수렴형, ㄴ: 수렴형
② ㄱ: 수렴형, ㄴ: 발산형
③ ㄱ: 발산형, ㄴ: 수렴형
④ ㄱ: 발산형, ㄴ: 발산형
⑤ ㄱ: 발산형, ㄴ: 순환형


12. 부동산 경기순환과 경기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동산 경기변동이란 부동산시장이 일반경기변동처럼 상승과 하강 국면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②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와 같이 일정한 주기와 동일한 진폭으로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반복되며 순환된다.
③ 부동산 경기변동은 일반경기변동에 비해 저점이 깊고 정점이 높은 경향이 있다.
④ 부동산경기는 부동산의 특성에 의해 일반경기보다 주기가 더 길 수 있다.
⑤ 회복시장에서 직전국면 저점의 거래사례가격은 현재 시점에서 새로운 거래가격의 하한이 되는 경향이 있다.


13. 정부의 부동산시장 직접개입 유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토지은행
ㄴ. 공영개발사업
ㄷ. 총부채상환비율(DTI)
ㄹ. 종합부동산세
ㅁ. 개발부담금
ㅂ. 공공투자사업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ㅂ
③ ㄷ, ㄹ, ㅁ
④ ㄷ, ㅁ, ㅂ
⑤ ㄹ, ㅁ, ㅂ


14. 다음 중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지대 발생의 원인으로 비옥한 토지의 부족과 수확체감의 법칙을 제시하였다.
ㄴ. 조방적 한계의 토지에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무지대 토지가 된다.
ㄷ. 토지 소유자는 토지 소유라는 독점적 지위를 이용하여 최열 등 지에도 지대를 요구한다.
ㄹ. 지대는 잉여이기에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높아지면 높아지고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낮아지면 지대도 낮아진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15.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과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택의 하향 여과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면 저급주택의 공급량이 감소한다.
② 저급주택이 재개발되어 고소득가구의 주택으로 사용이 전환되는 것을 주택의 상향 여과과정이라 한다.
③ 저소득가구의 천이 현상으로 인하여 주거입지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④ 주택의 개량비용이 개량 후 주택가치의 상승분보다 크다면 하향 여과과정이 발생하기 쉽다.
⑤ 여과과정에서 주택분리를 주도하는 것은 고소득가구로 정(+)의 외부효과를 추구하고 부(-)의 외부효과를 회피하려는 동기에 비롯된다.


16.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부동산은 대체가 불가능한 재화이기에 부동산시장에서 공매(short selling)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② 부동산시장이 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초과이윤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③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형, 규모, 품질 등에 따라 구별되는 하위시장이 존재한다.
④ 부동산시장이 준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새로운 정보는 공개되는 즉시 시장에 반영된다.
⑤ 부동산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더라도 할당효율적 시장이 될 수 있다.


정답

9 10 11 12 13 14 15 1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