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2021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5)

by 네이든 루니 2023. 2. 12.
반응형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

1과목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은 법 과목이 아닌 경제학·재정학·금융학·감정평가 등 여러 학문 중 부동산 관련 분야에서 출제된다. 즉 부동산 이론은 일반경제이론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관점으로 학습하고 부동산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잘 정리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31~36번 문제

시험에 나온 기출문제로 실전 감각을 키워 확실하게 대비한다.


31. 민간투자사업의 유형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ㄱ. 민간사업자가 자금을 조달하여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기간 소유 및 운영을 한 후, 사업종료 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게 시설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
ㄴ. 민간사업자가 자금을 조달하여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기간 동안 타인에게 임대하고, 임대기간 종료 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게 시설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
ㄷ. 민간사업자가 자금을 조달하여 시설을 건설하고, 준공과 함께 민간사업자가 당해 시설의 소유권과 운영권을 갖는 방식
<보기>
a.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b.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
c. BTL(build-transfer-lease) 방식
d. BLT(build-lease-transfer) 방식
e. BOO(build-own-operate) 방식
f. ROT(rehabilitate-operate-transfer) 방식

① ㄱ - a, ㄴ - c, ㄷ - e
② ㄱ - a, ㄴ - d, ㄷ - e
③ ㄱ - b, ㄴ - c, ㄷ - f
④ ㄱ - b, ㄴ - d, ㄷ - e
⑤ ㄱ - b, ㄴ - d, ㄷ - f


32. 부동산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동산시장이 공급자 우위에서 수요자 우위의 시장으로 전환되면 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된다.
② STP전략이란 고객집단을 세분화(Segmentation)하고 표적시장을 선정(Targeting)하여 효과적으로 판매촉진(Promotion)을 하는 전략이다.
③ 경쟁사의 가격을 추종해야 할 경우 4P Mix의 가격전략으로 시가전략을 이용한다.
④ 관계 마케팅전략이란 고객과 공급자 간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마케팅효과를 도모하는 전략이다.
⑤ 시장점유 마케팅전략이란 부동산시장을 점유하기 위한 전략으로 4P Mix전략, STP전략이 있다.


33. 부동산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동산개발사업 진행 시 행정의 변화에 따른 사업의 인허가 지연위험은 사업시행자가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위험이다.
② 공영(공공) 개발은 공공성과 공익성을 위해 택지를 조성한 후 분양 또는 임대하는 토지개발방식을 말한다.
③ 환지방식은 택지가 개발되기 전 토지의 위치·지목·면적 등을 고려하여 택지개발 후 개발된 토지를 토지소유자에게 재분배하는 방식을 말한다.
④ 부동산개발은 미래의 불확실한 수익을 근거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수반된다.
⑤ 흡수율분석은 재무적 사업타당성분석에서 사용했던 주요 변수들의 투입 값을 낙관적, 비관적 상황으로 적용하여 수익성을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34. 부동산마케팅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전략은 SNS, 블로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해당 브랜드나 제품에 대해 입소문을 내게 하여 마케팅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② 분양성공을 위해 아파트 브랜드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고객의 인식에 각인시키도록 하는 노력은 STP전략 중 시장세분화(Segmentation) 전략에 해당한다.
③ 아파트 분양 모델하우스 방문고객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자동차를 경품으로 제공하는 것은 4P Mix 전략 중 유통경로(Place) 전략에 해당한다.
④ 아파트의 차별화를 위해 커뮤니티 시설에 헬스장, 골프 연습장을 설치하는 방안은 4P Mix 전략 중 가격(Price) 전략에 해당한다.
⑤ 고객점유 마케팅전략에서 AIDA의 원리는 주의(Attention) - 관심(Interest) - 결정(Decision) - 행동(Action)의 과정을 말한다.


35. 다음은 감정평가 과정상 지역분석 및 개별분석과 관련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는?

지역분석은 해당지역의 (ㄱ)및 그 지역 내 부동산의 가격 수준을 판정하는 것이며, 개별분석은 대상부동산의 (ㄴ)을 판정하는 것이다. 지역분석의 분석 대상지역 중(ㄷ)은 대상부동산이 속한 지역으로서 부동산의 이용이 동질적이고 가치형성요인 중 지역요인을 공유하는 지역이다.

① ㄱ: 표준적 이용, ㄴ: 최유효이용, ㄷ: 유사지역
② ㄱ: 표준적 이용, ㄴ: 최유효이용, ㄷ: 인근지역
③ ㄱ: 최유효이용, ㄴ: 표준적 이용, ㄷ: 유사지역
④ ㄱ: 최유효이용, ㄴ: 표준적 이용, ㄷ: 인근지역
⑤ ㄱ: 최유효이용, ㄴ: 최유효이용, ㄷ: 유사지역


36. 원가법에서 사용하는 감가수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정률법에서는 매년 감가율이 감소함에 따라 감가액이 감소한다.
② 정액법에서는 감가누계액이 경과연수에 정비례하여 증가한다.
③ 정액법을 직선법 또는 균등상각법이라고도 한다.
④ 상환기금법은 건물 등의 내용연수가 만료될 때 감가누계상당액과 그에 대한 복리계산의 이자상당액분을 포함하여 당해 내용연수로 상환하는 방법이다.
⑤ 정액법, 정률법, 상환기금법은 모두 내용연수에 의한 감가수정 방법이다.


정답

31 32 33 34 35 3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