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개론은 법 과목이 아닌 경제학·재정학·금융학·감정평가 등 여러 학문 중 부동산 관련 분야에서 출제된다. 즉 부동산 이론은 일반경제이론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관점으로 학습하고 부동산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잘 정리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8~15번 문제
시험에 나온 기출문제로 실전 감각을 키워 확실하게 대비한다.
8. A부동산에 대한 기존 시장의 균형상태에서 수요함수는 P = 200 - 2Qd, 공급함수는 2P = 40 + Qs이다. 시장의 수요자수가 2배로 증가되는 경우, 새로운 시장의 균형가격과 기존시장의 균형가격 간의 차액은? (단, P는 가격(단위:만원), Qd는 수요량(단위: ㎡), Qs는 공급량(단위: ㎡)이며, A부동산은 민간재(Private goods)로 시장의 수요자는 모두 동일한 개별수요함수를 가지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24만 원
② 48만 원
③ 56만 원
④ 72만 원
⑤ 80만 원
9. 아파트시장에서 균형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은 모두 몇 개인가? (단, 아파트는 정상재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 건설노동자 임금 상승
- 대체주택에 대한 수요 감소
- 가구의 실질소득 증가
- 아파트건설업체수 증가
- 아파트건설용 토지가격의 상승
- 아파트 선호도 감소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10.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에 따르면 중심업무지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 사이에 점이지대가 위치한다.
② 호이트(H. Hoyt)의 선형이론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
③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의 다핵심이론에 교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이론이다.
④ 헤이그(R. Haig)의 마찰비용이론에 따르면 마찰비용은 교통비와 지대로 구성된다.
⑤ 알론소(W. Alonso)의 입찰지대곡선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나감에 따라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각 산업의 지대곡선들을 연결한 것이다.
11. 다음을 모두 설명하는 입지이론은?
- 운송비의 관점에서 특정공장이 원료지향적인지 또는 시장지향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원료지수(MI: material index)' 개념을 사용한다.
- 최소운송비 지점, 최소노동비 지점, 집적이익이 발생하는 구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최소비용지점을 결정한다.
- 최소운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운송비의 부담액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것이 등비용선이다.
①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② 호텔링(H. Hoteling)의 입지적 상호의존설
③ 뢰쉬(A. Losch)의 최대수요이론
④ 애플바움(W. Applebaum)의 소비자분포기법
⑤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12. 컨버스(P. D.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에 기초할 때, A시와 B시의 상권 경계지점은 A시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지점인가?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 A시와 B시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 A시 인구: 64만 명
- B시 인구: 16만 명
- A시와 B시 사이의 직선거리: 30km
① 5km
② 10km
③ 15km
④ 20km
⑤ 25km
13. 다음은 3가지 효율적 시장(A~C)의 유형과 관련된 내용이다. 시장별 해당되는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찾아 옳게 짝지어진 것은?
A. 약성 효율적 시장
B. 준강성 효율적 시장
C. 강성 효율적 시장
<보기>
ㄱ. 과거의 정보를 분석해도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다.
ㄴ. 현재시점에 바로 공표된 정보를 분석해도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다.
ㄷ. 아직 공표되지 않은 정보를 분석해도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다.
① A - (ㄱ), B - (ㄴ), C - (ㄷ)
② A - (ㄱ), B - (ㄱ, ㄴ), C - (ㄱ, ㄴ, ㄷ)
③ A - (ㄷ), B - (ㄴ, ㄷ), C - (ㄱ, ㄴ, ㄷ)
④ A - (ㄱ, ㄴ, ㄷ), B - (ㄱ, ㄴ), C - (ㄱ)
⑤ A - (ㄱ, ㄴ, ㄷ), B - (ㄴ, ㄷ), C - (ㄷ)
14. 현행 법제도상 부동산투기억제제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토지거래허가제
② 주택거래신고제
③ 토지초과이득세
④ 개발이익환수제
⑤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제도
15. 부동산 조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조세의 중립성은 조세가 시장의 자원배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② 양도소득세를 중과하면 부동산의 보유기간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③ 조세의 사실상 부담이 최종적으로 어떤 사람에게 귀속되는 것을 조세의 귀착이라 한다.
④ 양도소득세는 양도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것으로 타인에게 전가될 수 있다.
⑤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는 보유세로서 지방세이다.
정답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① | ② | ③ | ① | ④ | ② | ③ | ⑤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4) (28) | 2023.02.11 |
---|---|
2021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3) (26) | 2023.02.11 |
2021년 공인중개사 1차 기출문제(1) (67) | 2023.02.09 |
감정평가의 이해/ 지역분석과 개별분석/ 기출문제 (72) | 2023.02.08 |
감정평가의 원칙/ 분류/ 절차(2)/ 감정평가 방식의 이해 (84) | 2023.02.07 |
댓글